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more
지역경제 기업

김천지역 2024년도 3/4분기 기업경기전망

권숙월 기자 입력 2024.07.01 17:49 수정 2024.07.01 17:53

지난 분기 대비 10.4포인트 상승했지만 여전히 ‘악화’ 전망

김천상공회의소가 최근 김천지역 관내 50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3/4분기(7월~9월) 기업경기전망지수를 조사한 결과 지난 분기 81.6에서 10.4포인트 상승한 92.0을 나타냈다.

2024년 3/4분기 BSI지수가 상승했지만 기업들이 예상하는 경기전망은 지난 분기보다 ‘호전’될 것이라고 답한 기업보다 ‘악화’될 것이라고 답한 기업이 더 많았다. 그 원인을 살펴보면 ‘내수소비위축’, ‘고금리 장기화’, ‘해외수요 부진’ 등을 주된 이유로 꼽았다.
경기전망지수는 100 미만이면 다음 분기 경기가 이번 분기보다 나빠질 것으로 보는 기업이 더 많은 것이고 100을 넘어서면 그 반대다.

업종별로 음·식료품(71.4), 섬유(75.0), 비금속광물(80.0), 목재·제지(83.3)제조업 등은 기준치인 100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내 3분기 기업경기가 전분기보다 악화될 것으로 내다봤으며 화학(100.0), 금속(100.0), 기계(100.0) 제조업은 기준치 100을 나타낸 반면 전기·전자(114.3) 제조업은 3분기 기업경기가 전분기보다 호전될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대상 업체의 상반기 실적(영업이익)이 올해 초 계획한 목표치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냐는 물음에 ‘소폭 미달(10%이내)’(54.0%), ‘대폭 미달’(26.0%), ‘목표 수준달성’(16.0%), ‘소폭 초과달성(10%이내)’(4.0%)로 나타났다.

위 질문에 이어서 하반기 실적(영업이익)에 가장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대내외 리크스 요인은 무엇이냐는 물음에 ‘내수소비 위축’(37.1%), ‘고금리 장기화’(18.6%), ‘해외수요 부진’(17.2%), ‘유가·원자재가상승’(15.7%), ‘규제강화 등 국내 정책이슈’ 및 ‘환율변동성 확대’ 각각 (4.3%), ‘관세부과등 무역장벽 강화’ 및 ‘기타’ 각각 (1.4%)로 답했다.

최근 여러 산업분야에서 중국의 과잉공급 및 저가상품 수출 확대가 지속되고 있다는 지적이 있는데 이것이 귀사의 실적 및 경영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의 물음에 ‘현재 영향 없거나 향후 피해 가능성 있음’(43.8%), ‘영향 적거나 없을 것으로 전망’(29.2%), ‘매출 수주 등 실적에 영향 있음’(27.0%) 순으로 답했다.

이어서 중국의 저가 물량공세로 인해 어떤 피해를 겪고 있거나 예상하냐는 물음에 ‘판매단가 하락 압박’(43.1%), ‘내수시장 거래 감소’(27.6%), ‘중국 외 해외시장 판매 부진’(15.5%), ‘대중국 수출감소’ 및 ‘실적부진에 따른 사업축소·중단’ 각각 (5.2%), ‘기타’(3.4%)로 조사됐다.

지난 5년간 귀사의 기술력 및 중국 기업들의 기술 성장속도를 비교할때 어떻게 변화했다고 보십니까 하는 물음에 ‘우위에 있으나 기술격차 축소’(43.8%), ‘비슷한 수준까지 추격당함’(36.6%), ‘중국기업에 추월당해 열위에 있음’(9.8%), ‘계속 우위에 있음’ 및 ‘계속 열위에 있음’ 각각 (4.9%)로 답했다.

위 질문에 이어서 중국 기업들의 기술 성장속도를 고려할 때 몇 년 이내로 귀사의 기술력을 중국기업이 추월할 것으로 예상하냐는 물음에
‘2~3년이내’(42.8%), ‘4~5년 이내’(31.0%), ‘1년 이내’(21.4%), ‘6년~10년 이내’ 및 ‘10년 이상 소요’ 각 (2.4%)순으로 조사됐다.

중국의 저가·물량 공세에 대응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마련하거나 검토 중인가에 물음에 ‘고품가 제품개발 등 품질향상’(29.2%), ‘제품 다변화 등 시장저변 확대’(18.5%), ‘대응전략 없음’(16.9%), ‘현지생산 등 가격경쟁력 확보’(15.4%), ‘인건비 등 비용절감’(10.8%), ‘신규 수출시장 개척’(9.2%)로 나타났다.

이어서 중국 저가·물량 공세의 부정적 영향에 대응하기 위해 귀사는 어떤 지원정책이 필요하냐는 물음에 ‘국내 산업 보호 조치 강구’ 및 ‘연구개발(R&D) 지원 확대’ 각 (35.0%), ‘신규시장 개척 지원’(15.0%), ‘FTA관세 혜택 활용’(10.0%), ‘무역금융 지원 확대’(5.0%)로 조사됐다.



저작권자 새김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