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학년 후배들이 학급별로 색다른 율동으로 언니들의 졸업을 축하하는가 하면 교장선생님께서는 졸업생 모두에게 일일이 졸업장을 직접 수여하면서 악수와 함께 껴안아 주고 어깨를 두드리며 격려와 축하를 하였으며 특별히 졸업생 모두에게 한 가지씩 특별상을 수여하는 것을 보았다. 백 명이 넘는 졸업생에게 졸업장과 상장을 수여하는 데만 1시간 이상 소요되는 모습을 보고 진한 감동을 받았다.
이 광경을 바라보면서 몇 년 전 어느 신문에서 읽은 내용이 떠올랐다. 초등학교를 졸업한 어느 학생의 아버지가 아들의 졸업장과 앨범을 구경하다가 아이들이 쓴 글모음 공책을 발견했다. 그 공책에는 졸업을 앞두고 주고받은 글들을 복사하여 모은 것으로 이것저것 뒤적이던 중 흥미로운 것 하나를 발견하게 되었다.
“20년 후의 우리 선생님은 어떤 모습일까?” 묻는 앙케트를 발견한 것이다. 상상을 초월한 기상천외의 기발한 표현에 뒤통수를 한 대 얻어맞은 기분이었다.
“천국, 아니 지옥으로 갔거나 늙은 할아범으로 살아 있을 것”, “꽥, 저승사자”, “무덤 속에서 ㄲ ㄲ ㄲ ㄲ”, “늙어빠진 할아버지”, “중풍+노망”, “거지가 되어 우리 반 아이 집에서 살 것이다”, “죽었지 뭐, 관심 없다”, “관속에 계실 것이다”, “뼈와 틀니만 남겠지” 등등. 연세가 많은 선생님이 담임을 하셨겠지만 이렇게 거칠고 삭막한 표현으로 여과(濾過)없이 나올 수 있을까 싶었다.
간혹 “우리 교장 선생님 같은 인자하신 분”, “손자를 데리고 다니는 점잖은 분”, “초박력, 멋진 할아버지 왕” 같은 표현이 발견되기도 했지만 대부분 심성이 뒤틀려있는 표현이었다. 물론 일부의 반 장난으로 표현된 것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아이들의 앙케트 글모음은 현실을 그대로 반영한 풍속도로 생각되어 그 아버지는 착잡한 마음을 버릴 수가 없었다고 한다. 세월이 흐르면 모든 것이 변하기 마련이다.
졸업식만 봐도 그렇다. 사오십 년 전, 60년대의 졸업식장은 온통 눈물바다를 이루었다. 재학생의 송사와 졸업생의 답사는 졸업식의 엄숙한 분위기를 한껏 돋우기도 했는데 세월이 흐른 지금은 송사, 답사, 졸업식 노래가 사라진지 오래다. 중ㆍ고등학교에서는 졸업식 노래대신에 축가를 부르는 곳이 많아졌다.
오랜 기간 형설의 공을 쌓고 영광의 졸업을 축하하는 마당에 어쩌면 박수로 격려하는 것이 눈물을 흘리는 것보다 이치에 더 맞는지도 모른다. 현실에 맞게 변하는 것이 더 발전적이고 진취적인 것도 많다. 무턱대고 옛것에 안주하려는 생각은 어리석은 일이다.
굳이 온고지신(溫故知新)을 고집할 필요도 없겠으나 지금 아이들의 심성이나 사고방식은 변해도 너무 많이 변했다. 교실에서 아이가 선생님의 말을 듣는데 두 손으로 턱을 받치고 선생님의 얼굴을 빤히 올려다보고 있다. 선생님은 아이에게 손을 내리고 바로 앉아서 들으라고 한다. 아이는 아까 앉은 채로 “왜요?”라고 대꾸한다. 아이는 똑바로 앉아서 듣는 것이나 턱을 받치고 앉아서 듣는 것이 뭐가 다르냐고 선생님에게 되묻는다. 선생님은 그 말에 적절한 대답을 궁리하다가 그만 피식 웃어버리고 말았다. 아이에게는 손으로 턱을 받치고 듣는 것이 더 자연스럽고 머리에 잘 들어온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선생님의 웃음은 어쩐지 씁쓸하고 속이 아려오게 한다. 선생님이 아이들에게 청소 지도를 하면서 직접 휴지를 줍고 있으니까 아이들이 “선생님 여기도 있네요. 저기도 있네요.” 하면서 휴지 있는 곳을 지적해 주더라는 이야기는 왠지 우리들을 슬프게 한다. 운동회 날 담임선생님이 자기반 아이에게 “엄마 오셨나?” 하니까 “또, 뭐 얻어 잡수시려고요?”라고 되묻더라는 말을 들은 적도 있다.
세월이 아무리 변해도 변해서는 안 되는 것이 있다. 어른, 부모님이나 선생님에 대한 존경심이 그것인데 이것마저 많이 변하고 있으니……. 한 사람 한 사람의 어깨를 두드려주면서 졸업장과 상장을 수여받은 학생들의 마음은 그렇지 않을 거라고 생각은 들지만 왠지 마음 한편 엄청난 격세지감(隔世之感)을 느끼게 된다.